Park, Jongwon
Physics Education
박종원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과학철학
2부로 나누어 강의
1부-과학철학의 이해(현대의 과학철학: 찰머스 지음)
2부-과학의 본성 지도 자료 실습
[1부]
1장에 관련된 질문
① 갈릴레오의 어떠한 업적이 과학을 귀납주의적 관점으로 보게 하였는가?
②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상식적인 귀납주의적 관점은 무엇인가 ?
③ 단칭 언명과 보편 언명의 기본적인 차이는 무엇인가 ?
④ 귀납 추리란 무엇인가 ?
⑤ 귀납을 정당화시켜 주는 조건들이란 무엇인가 ?
⑥ 귀납 추리는 언제 사용하고, 연역 추리는 언제 사용하는가 ?
⑦ 과학적 설명과 예측의 일반적인 형식은 어떠한가 ? 힘과 운동의 경우의 예를 들어라.
⑧ 연역 논리 자체는 세계에 대한 참된 언명의 근원 역할을 절대로 할 수 없다는 말은 무슨 의미인가 ?
2장에 관련된 질문
① 논리에 호소하여 귀납의 원리를 정당화할 수 없다는 말의 의미는 ?
② 경험에 의하면 귀납의 원리를 정당화하려고 하면, 귀납법을 정당화하기 위해 귀납의 원리를 다시 사용하는 격이 된다고 하였다. 이것은 무슨 의미인가 ?
③ 1장에서 제시한 귀납의 정당화를 위한 조건을 다시 보자. 이때 이 조건들에는 어떠한 모순이 있다고 할 수 있는가 ?
④ 불에 한번 덴 아이가 ' 불을 뜨겁다 '라는 보편 언명을 가지게 되었다면, 귀납주의자들은 이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
⑤ 돌을 낙하하는 실험에서 돌을 던지는 사람의 옷 색깔을 바꾸어 가면서 던지라고 하면, 귀납주의자는 무엇이라 하겠는가 ?
⑥ 왜 귀납론에 확률론이 도입되게 되었는가 ?
⑦ 귀납의 원리를 확률론적으로 수정하였을 때, 보편 언명이 참일 확률이 왜 0이 되어 버리는가 ?
⑧ 보편 언명이 참일 확률을 부여하는 것과, 보편 언명에서의 예측의 정확성에 확률을 부여하는 것과는 어떻게 다른가 ?
⑨ 개별적인 예측에 0 이상의 확률을 부여하면, 어떤 문제가 제기되는가 ?
⑩ 흄은 왜 과학이 합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고 하였는가 ?
3장에 관련된 질문
① 관찰자가 무엇인가를 볼 때, 관찰자의 경험은 관찰자의 눈에 들어온 정보가 결정하는 것도 아니고, 망막에 맺힌 상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도 아니라는 말의 의미는 ?
② 핸슨이 말한, ' 본다는 것은 안구 운동 이상의 행위이다'에서 '안구 운동'은 무엇이고, '안구운동 이상의 행위' 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
③ 갈릴레오가 발견한 목성을 그 당시의 다른 사람들이 믿지 않게 된 이류를 조야한 망원경을 통해 보게 될 때 직면하게 되는 실제적인 어려움 때문이라고 하였는데, 어떤 어려움을 뜻하는가 ?
④ 귀납주의자들이 말하기를 관찰자는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것을 보지만, 그들이 본 것을 다르게 해석하는 것 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왜 이 말리 틀리다고 필자는 말하였는가 ?
⑤ 보는 것이 사람마다 다르다면, 어떻게 사람들에게 동일한 경험이라는 것이 있을 수 있고, 의사소통이 가능하겠는가 ?
⑥ 관찰 언명이 참이지 못하고 오류를 범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관찰 언명이 오류를 범한 예를 물리에서 들어 보아라.
⑦ 귀납주의자가 관찰 언명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정확한 관찰과 실험을 해 보이면 보일수록 어떠한 문제가 심화되는가 ?
⑧ 어떤 학생이 옴의 법칙에 관한 실험에서 전압과 전류를 측정할 때 저항값 만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할 뿐, 실험실 안의 온도는 변화시키지 않았다. 이 학생의 실험 방법이 옳은가 ?
⑨ 귀납주의자가 관찰에 대해 가정하고 있는 두 가지는 무엇이며, 이 가정이 어떻게 잘못되었는가 ?
⑩ 논리 실증주의자들은 어떤 이론이 의미있는 이론이라고 하면, 그들의 주장은 왜 잘못되었는가 ?
⑪ 왜 귀납주의자들은 처음 이론이 발견되는 방식을 귀납주의적인 관점에서 분리하였는가 ?
활동 : 과학 교실에서 다음과 같은 학생활동이 있었다고 하자. 관찰 지도는 어떻게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발표해 보아라.
학생활동 예 1 : 11세 아동들에게 그들 앞에 놓인 견본에서 쥐며느리를 그리도록 하였다. 교사는 한 구룹에 가까이 가서 그들이 돌출된 다리가 있는 계란 모양의 부분을 그리는 것을 어깨 너머로 보았다. 교사는 여러 학생들을 그림에서 다리를 세고 있었다. ' 일곱, 여덟, 열 - - - 너희들 모두 똑같은 쥐며느리에서 보고 있니 ? 다리가 몇개지 ?' 다시 아동들의 관심이 자신들이 한 관찰 기록을 비교하는데 집중되었다. 그들은 다시 그리기 시작했고, 그때에는 단순히 쥐며느리를 보는 것이 아니고 특정한 부분을 찾고 있었다. 아동들에게 어떤 그림이 가장 믿을 만한 것인지에 대해 질문함으로서 생물 견본에 대한 조심스러운 관찰이 격려될 수 있었다. 빠진 부분이 지적되고 관련된 것과 관련없는 것을 선택하도록 하는 토의가 자극을 주었다.
학생 활동 예 2 : 양파 세포 그림을 본 적이 없는 학생들이 교사의 지시에 따라 양파껍질을 얇게 벗겨서 슬라이드 글라스에 놓고 커버 글라스로 덮은 다음 관찰하는 장면을 상상해 보자. 그런 경우에 어떤 학생들은 슬라이드 글라스와 커버 글라스 사이의 공기방울을 그리는 경우가 있다. 분명히 이 학생들은 아무런 선입관 없이 관찰한 대로 그렸지만 그것이 적절한 관찰도 아니며, 따라서 학습에 도움이 되는 관찰도 아니다. 오히려 이 경우에 학생들이 양파 세포 그림을 교과서에서 미리 보았다면, 현미경을 통해 직접 확인하고 옳게 관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장에 관련된 질문
① 반증주의자들은 이론과 관찰의 관계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
② 반증주의자가 발하는 이론의 발생과 발달 과정은 ?
③ 보편 언명의 참, 거짓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④ 가설이나 이론이 과학적 법칙이나 이론이 되기 위한 조건은 ? 조건에 만족되는 예와 그렇지 않은 예를 각각 들어라.
⑤ 과학 법칙이나 이론이 논리적으로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않은 많은 주장들을 배제하고 있는 예를 들어라.
⑥ 모든 행성은 타원형 궤도를 돈다는 언명의 잠재적 가능자는 무엇인가 ?
⑦ 오류를 통해서 배운다는 말은 무슨 의미인가 ?
⑧ 왜 이론이 정확하고 명확하게 진술될수록 반증가능성이 높아지는가 ?
⑨ 경험의 역할이 귀납주의자와 반증주의자에게 어떻게 다른가 ?
⑩ 과학이 관찰에서 시작된다는 말의 의미가 귀납주의와 반증주의에서 어떻게 다른가 ?
5장과 관련된 질문
① 좋은 그리고 옳은 이론의 조건은 무엇인가 ?
② 반증주의의 문제가 무엇이기에 세련된 반증주의로 옮아갔는가 ?
③ 에드호크 수정인지 아닌지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
④ 대담한 추측이 확증되거나 조심스러운 추측이 반증된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
⑤ 어떤 가설이나 이론, 예측이 대담한지 아닌지를 무엇으로 기준을 삼는가 ?
⑥ 세련된 반증주의임에도 불구하고 이론이 참이라는 것으로 확증할 수 없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
⑦ 확증의 역할이 귀납주의자와 반증주의자에게 어떻게 다른가 ?
6장과 관련된 질문
① 소박한 반증주의자와 세련된 반증주의자의 다른 점은 무엇이고, 공통점은 무엇인가 ?
② 관찰과 이론이 모순되는 경우, 폐기해야 할 것은 관찰이 아니라 이론이라는 주장은 결코 성립되지 않는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
③ 이론의 결정적인 반증이 있을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
④ 반증을 하기 이한 확실한 관찰 언명을 확보하기 위해 포퍼는 어떠한 옹호를 하였는가 ? 그러나 그러한 옹호가 왜 잘못되었는가 ?
⑤ 단순한 보편 명제에 비해 과학 이론을 반증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
⑥ 어떤 이론을 반증하는 실험 결과가 나왔을 때, 과학자는 그 이론을 폐기하기보다는 옹호하기 이해 어떠한 조치들을 취할 수 있겠는가 ?
⑦ 이론을 반증하는 관찰이 있었더라도 이론이 반증되지 않은 것이 다행이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
⑧ 코페르니쿠스 이론에 대한 탑의 논증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가 ?
⑨ 코페르니쿠스는 자신의 이론이 왜 맞다고 생각했을까 ? 추측하여 보자.
⑩ 과학철학적인 논의에서 역사적인 논의가 왜 필요한가 ?
⑪ 코페르니쿠스 혁명에서 어떻게 귀납주의적 설명이 부적절하며, 어떻게 반증주의적 설명이 부적절하게 되었는가 ?
7장과 관련된 질문
① 역사적인 연구 결과 이론이 조직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나타났다는 말의 의미는 ?
② 개념들이 정합적으로 구성된 이론에 의해서만 정확한 의미를 얻을 수 있다는 말의 의미는 ?
③ 과학이 성장하기 위해 이론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 (이론의 구조가 연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개방 구조여야 한다는 말의 의미는 ? )
④ 왜 이론을 어떤 조직화된 구조로 간주해야 하는가 ?
⑤ 사회학과 물리학의 차이는 상대적인 정합성의 정도에 기인한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
⑥ 부정적 발견법과 긍정적 발견법을 간단하게 구분하여 설명하여라.
⑦ 한가지 반증 사례 ( 관찰 언명) 만으로는 이론이 반증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
⑧ 반증주의자들의 심각한 난점은 무엇이고, 라카토스는 이러한 난점을 어떻게 해결하였는가 ?
⑨ 한 프로그램이 전진적인지 퇴행적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⑩ 한 연구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전진적인가 퇴행적인가는 알려고 할 때 생기는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는가 ?
⑪ 한 프로그램의 핵은 결국은 반증된다는 말인가, 반증되지 않는다는 말인가 ?
8장과 관련된 질문
① 쿤은 과학의 어떠한 특성에 관심을 가졌는가 ? (두 가지를 요약하시오)
② 쿤과 라카토스와 같은 점은 무엇이고, 다른 점은 무엇인가 ?
③ 과학자들의 다양한 활동들이 조직화되지 못하였을 때, 어떤 계기로 조직화되고 체계화되는가 ?
④ 패러다임이란 무엇인가 ?
⑤ 과학혁명을 간단히 요약하라.
⑥ 과학과 비과학의 구분은 무엇으로 하는가 ?
⑦ 정상과학 단계에서 풀리지 않는 문제가 나타나면 과학자는 어떻게 하는가 ?
⑧ 경쟁관계에 있는 패러다임의 지지자는 서로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는 말의 의미는 ?
⑨ 어떤 패러다임보다 다른 패러다임이 더 좋은 지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⑩ 어떤 과정으로 다른 패러다임으로 바뀌게 되는가 ?
⑪ 쿤의 설명이 기술적이라는 말의 의미는 ?
⑫ 정상과학의 기능과 혁명의 기능은 각각 무엇인가 ?